가즈큘의 일상/일상다반사(영화,주식,이슈)

트위치 CEO "댄 클랜시" 개인방송 내용 - 트위치 한국 서비스 종료, 망사용료 10배로 비싸다

가즈- 게임 글은 여기서 2023. 12. 6. 14:53
반응형

안녕하세요 가즈입니다.

트위치 CEO "댄 클랜시"의 트위치 개인방송 내용 요약 글입니다.


트위치 CEO 댄 클랜시가 23년 12월 6일 날 트위치 KR 채널을 통해

개인방송을 진행하였습니다. 해당글은 개인 방송의 요약을 다뤘습니다.

 

댄 클랜시 개인방송 내용 (총 방송시간 : 37분16초)

 

1. 트위치 한국의 서비스 종료 (12분 ~13분 15초)

 

개인방송 12분 40초쯤에 댄 클랜시가 트위치 한국 서비스 종료를 알렸습니다.

한국의 서비스 종료 날짜는 24년 2월 27일로 결정했다고 합니다.

 

 

2. 한국은 다른 나라보다 망 사용료 10배 (13분 16초~14분 30초)

 

서비스 종료 이유로는 가장 먼저 한국의 망사용료를 지적했습니다.

한국의 망사용료는 다른 나라의 10배 이상이라고 하며,

이를 최대한 줄이기 위해 720P 화질제한, P2P그리드 이용을 해봤지만 해결은 불가능했다고 합니다.

 

오히려 비싼 한국의 망 사용료 때문에 한국 유저들이 많이 볼수록 적자가 심해진다고 합니다.

 

 

3. 스트리머(개인 방송자)들은 다른 플랫폼으로 이동 (15분 30초~ 16분 50초)

 

한국에서는 스트리밍 서비스 플랫폼으로 아프리카 TV, 유튜브 라이브가 있고,

스트리머들은 이쪽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해 주겠다고 합니다.

스트리머(개인방송자)는 다른 플랫폼 이전 하라는 내용입니다.

 

 

준비한 Q&A 시간 (17분 ~ 27분 40초)

1. 한국과 다른 나라의 시장이 왜 다른가? (17분 20초 ~ 18분 10초)

 

한국의 경우 망 사용료는 제공 업자들에게 지급해야 하는 실정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제공 업자들은 통신사들입니다.

이런 제공업자들이 요구한 비용이 다른 나라보다 망 사용료가 10배 정도 비싸다고 합니다.

 

 

2. 지금 시점에 서비스 철수를 내렸는가? (18분 20초 ~ 19분 20초)

 

서비스 철수 관련해서는 3년간 고민을 하고 결정을 내린 것이고,

3년 동안 서비스를 지속하기 위해 노력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 와중에(화질 720P제한, 다시 보기 없애기) 한국에서 트위치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많아졌고,

적자 비용은 계속 늘어나기 때문에 지금 결정했다고 합니다.

 

결국 한국에서는 이용자가 늘수록 적자는 더 커진다는 뜻입니다.

 

 

3. 한국시장 재진출 계획은? (19분 30초 ~ 20분)

 

한국에 재진출 할 계획은 있는가에 대해서는 없다고 발표했습니다.

정확히는 현재 상황(망 사용료)이 개선되지 않는 이상 돌아올 계획은 없다고 합니다.

 

결국 망 사용료가문제라는 겁니다.

 

 

4. 서비스 종료 말고 다른 대안은 없었는가? (20분 20초 ~ 26분)

 

480P를 생각해 봤지만 영상화질이 말이 안 되기에 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리고 한국 규제와 한국법을 지키지 않는 방식(망 사용료를 내지 않는 것 같은?)은

한국 규제와 한국 법에 따라 싸움이 날 수 있다 메타와 넷플릭스처럼

 

또한 이런 방식은 버퍼링이 생길 수도 있으므로 안된다고 합니다.

 

 

5. 서비스 종료 후에 어떻게 할 것인가? (26분 10초 ~ 27분 30초)

 

2월 27일 한국 서비스 종료 후에 한국 당국에서 규제를 요구하는 게 있을 것이므로

한국 IP에서부터 활동을 끊어야 한다고 합니다( 한국 IP밴)

 

한국의 IP로는 트위치를 이용할 수 없을 것 같다는 것 같습니다.

 

 

유저 Q&A (27분 40초~ 47분 46초)

 

1. 망 사용료 때문에 서비스 종료 맞나? (27분 50초 ~ 28분 20초)

 

맞다. 망 사용료 때문이다.

 

딱 잘라서 말해주셨네요 망사용료 탓이라고 계속해서 말하는 것을 보니

한국의 망 사용료는 큰 문제가 될 듯합니다.

 

 

2. 아프리카 TV도 망사용료를 내는데 왜 다른가? (28분 25초 ~ 30분 40초)

 

(이 질문이 제일 중요했다고 봅니다.)

아프리카 TV가 어떻게 운영하는지는 모르겠으며, 아프리카 TV는 한국 플랫폼 기업입니다.

트위치는 한국시장만을 위한 서비스를 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이건 돌려 말하기 했지만 내용에 한국 플랫폼 기업과 해외 플랫폼 기업이

적용되는 법이 다를 수 있다는 것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이건 그냥 유추만 가능할 뿐이고 자세한 실정은 모르겠네요. 글쓰기도 무섭네요

 

이를 통해 한국에서의 트위치 성장은 오히려 트위치의 적자를 발생한다고 합니다.

 

 

3. 네이버가 새로운 플랫폼을 발표 했는데 트위치가 관여되어 있는가? (31분 40초 ~ 32분 45초)

 

네이버 새로운 라이브 플랫폼 "치지직"이 새로 발표했는데 이에 트위치가 관여 있는가에 대한 질문으로는

네이버 측 하고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고 말했습니다.

새로운 라이브 플랫폼이 생긴다면 스트리머(크리에이터)들의 갈 수 있는 옵션이 새로 생긴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4. 넷플릭스나 유튜브는 서비스 종료를 하지 않는데 왜 하느냐?( 33분 ~ 34분 50초)

 

넷플릭스와 유튜브는 다른 비즈니스 모델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넷플릭스는 실현 가능한 비지니스 모델을 가지고 있고,

 

유튜브 같은 VOD 비지니스 모델은 트위치와 다르다고 합니다.

트위치는 오로지 라이브 스트리밍이 모델이라고 합니다.

 

즉, 넷플릭스는 구독형 시스템에 라이브 스트리밍처럼 과도한 트래픽을 내지 않기에

본인들과 다르다고 말하는 것 같습니다.

 

유튜브는 수많은 비즈니스 모델을 가지고 있다기에 비용 측과 영업이익 쪽에서는 압도적으로 차이가 나고

VOD 컨탠츠가 라이브 스트리밍과 다르게 트래픽 소모가 적습니다.

무엇보다 유튜브가 망 사용료를 안 내고도 버틸 수 있는 기업이기도 하죠. 

 

 

5. 서드파티가 문제가 되었는가? (35분 ~ 35분 35초)

 

서드파티는 스트리머들의 옵션일 뿐이고 상관없다고 합니다.

사실 서드파티인 투네이션 질문은 3번 질문보다 먼저 나왔지만 투네이션이 서드파티란 건 몰랐나 봅니다.

 

 

6 해외 스트리밍 서비스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35분 40초 ~ 37분)

 

해외 스트리밍 서비스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방송 품질이 떨어지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한국의 스트리머가 해외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면 그만큼 느려지는 버퍼링과 소통시간으로

오히려 스트리밍 서비스에 방해된다고 합니다.

 

이는 또한 한국의 통신사들과 마찰이 나올 수 있기에 안된다고 합니다.

 

 

7. 스트리머(크리에이터)들 이전을 도와준다고 했는데 어떻게? ( 38분 20초 ~ 40분 35초)

 

동시 송출을 가능하게 하고, 본인들은 계속 해당 플랫폼 쪽으로 이전하게끔 계속 공지해 준다고 합니다.

 

 

8. 해외의 스트리머들은 한국 스트리머들의 내용을 못 보냐? (42분 50초 ~ 43분 50초)

 

2월 27일 한국 서비스 종료 이후에 한국 IP에서 나가는 스트리밍은 보여 줄 수 없다고 합니다.

 

한국 IP관련된 스트리밍 서비스들은 다 삭제될 것 같네요. 

 

사실 유저들의 Q&A는 더 있었지만 똑같은 내용인 경우가 많기에 전부 다루지는 않았습니다.

 

 

개인적인 방송 내용의 생각

이번 방송을 보면서 느낀 점은 확실히 CEO가 직접 나오면서 Q&A까지 진행하는 것을 보아서

트위치에서 한국에 직접적으로 말할 게 있다고 느껴졌습니다.

 

바로 한국 통신사들의 망 사용료가 너무 비싸다.라는 것이죠.

한국의 망 사용료가 10배나 비싼 것은 저가 봐도 정상적이지 않다는 것입니다.

 

이런 한국이 망 사용료의 해결하고자 하는 의지도 없는 것 같고 이슈만 되는 상태이므로

저는 앞으로도 외국기업들이 한국에 망 사용료를 내지 않거나 진출하지도 않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결국 한국은 갈라파고스화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유저 Q&A 2번 질문이 가장 중요했다고 생각합니다.

아프리카 TV도 망사용료를 내는데 트위치는 왜 적자로 서비스 종료를 하는가?

 

여기서 CEO의 대답이 해외기업과 한국의 국내기업이 적용되는 망사용료가 다른 것 같다는 뉘앙스로 느껴졌습니다.

※ 이는 단순한 내 생각일 뿐입니다.

 

그래서 저는 궁금해졌습니다. 아프리카 TV는 화질도 1440P로 테스트하는 수준이고,

트위치는 720P로도 유지가 불가능한 수준인데 이게 가능한가?

이건 뭐 궁금해한다고 망사용료 관련된 자료가 없는 이상 알 수가 없으니 아쉽습니다.

 

이제 스트리머(크리에이터)분들은 전부 이주하게 생겼습니다.

유튜브, 아프리카 TV, 네이버의 치치직, 카카오TV 등등 대중적인 것은 이 정도라고 생각합니다.

팝콘 TV, 플랙스 TV, 판다 TV 같은 19금 플랫폼으로 가진 않겠죠.

 

이 사태가 그저 트위치에서 끝나길 바랍니다. 

 

 

반응형